공지사항
복자 "○"으로 가려진 방송금지어 추가됩니다.
저 처럼 단어의 철자를 모르는 사람이라면 사전을 뒤져도 무슨말인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검색과 이해를 방해하는 복자(伏字) "○"로 가려진 키워드를 추가하기로 했습니다.
단일 키워드로 등재하기 보다는 원래의 키워드에 '[참고]' 라는 항목에 추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그렇게 하면, 복자로 가려진 단어도 검색되어 원래의 뜻을 찾아볼 수 있겠습니다.
tmi, 복자로 왜 가리는지 알아봤습니다.
먼저 복자라는 말을 사전에 찾아보면...
伏 (엎드릴 복) 字 (글자 자) : 엎드린 글자
1. 인쇄물(印刷物)에서 밝히지 않을 부분(部分)을 일부러 비우거나 그 자리에 「oㆍ×」 따위의 표(標)를 찍는 것. 또는 그 표.
2. 판을 짤 때에 소용(所用)되는 활자(活字)가 없을 경우(境遇)에 적당(適當)한 활자(活字)를 뒤집어 꽂아 검게 박은 것.
무언가를 가릴때 쓰는 글자라는 개념입니다.
그럼 왜 AV 제목과 설명에 복자를 쓰는지 궁금해 집니다.
일본에서는 협오스럽거나 사회에 물의를 일으키는 단어는 방송국과 라디오방송등 각 매체가 주체가 되어 "방송금지용어"를 자체적으로 설정하고 다른 용어로 대체해 쓰거나 복자로 가리는 처리한다고 합니다.
미디어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문자에 대한 모자이크 처리라고 이해해도 되겠습니다.
그러고 보니, AV 제작사들도 미디어 매체이고 그래서 이러한 사회적 약속을 따르는 것 입니다.
좋아요